
2025년 05월30일
(백)부활 제6주간 금요일
사도행전 18,9-18
요한 16,20-23ㄱ
🙏고통이 없기를 바라지 마십시오!🙏
원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찾아오는
것이 고통입니다. 마치 불청객 같습니다.
초대도 하지 않았는데, 준비도 안 된 상태에서
불시에 찾아옵니다.
그래서 우리 삶을 한 바탕 휘저어놓습니다.
또한 고통의 강도가 셀 때나 오래 지속될 때,
우리네 삶은 얼마나 피폐해지는지 모릅니다.
고통의 종류도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.
물질적 가난으로 인한 고통,
나와 다른 그로 인한 고통,
즉 존재로 인한 고통,
병이나 장애로 인한 고통,
이유를 끝끝내 알수 없는 고통,
노화나 죽음으로 인한 고통......
마치 큰 산 하나를 종주하는 느낌입니다.
고통의 산봉우리를 하나 겨우 넘어섰다
싶었는데, 또 다른 산봉우리가 기다리고
있습니다.
이 혹독한 고통이 얼마나 더 계속될 것인가?
언제쯤 끝날 것인가? 막막하기만 합니다.
그런데 우리 그리스도인에게는 고통과
관련해서 한 가지 특권이 있습니다.
고통 겪고 있는 우리 곁에 주님께서 함께
하신다는 것입니다.
그분께서는 비록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
고통을 봄바람에 눈 녹듯이 순식간에
없애주시지는 않지만, 우리보다 더 큰 고통을
겪으시며 우리를 위로해주고 계십니다.
그리고 주님께서는 이 고통이 끝나는 길목에
고통을 잘 견뎌온 댓가로 형언할 수 없는
기쁨과 축복과 상급을 준비하고 계십니다.
“너희가 근심하겠지만,
그러나 너희의 근심은 기쁨으로 바뀔 것이다.
내가 너희를 다시 보게 되면 너희 마음이
기뻐할 것이고, 그 기쁨을 아무도 너희에게서
빼앗지 못할 것이다.”
이 땅 위에 두 발을 딛고 서 있는 이상,
그 누구도 고통에서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.
제가 수많은 사람들 만나봤지만,
고통이 하나도 없다고 행복해하는 사람은
단 한명도 못만났습니다.
결국 고통은 우리네 인생의 선택 과목이
아니라 필수 과목입니다. 관건은 끊임없이
우리에게 다가오는 고통을 보다 큰 시선,
영적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입니다.
고통이 없기를 바라지 않는 것입니다.
더 나아가 고통을 친구처럼 여기며 기꺼이
받아들이는 것입니다.
오늘 내가 겪고 있는 이 고통에 반드시
의미와 가치가 있음을 확신하는 것입니다.
-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, 살레시오회 -
(옮긴글)
'가톨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성령강림대축일 (0) | 2025.06.08 |
---|---|
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(0) | 2025.04.26 |
프란치스코 교황의 영원한 안식을 위한 기도 (0) | 2025.04.26 |
장애인을 위한 기도 (0) | 2024.06.12 |
신(神)의 침묵(沈默)] (1) | 2024.04.20 |